[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7. 아키텍처 특성 범위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이번주는 5장 내용 중 요구사항에서 아키텍처 특성을 도출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소개됐었던 ‘아키텍처 카타’를 통해 아키텍처 특성 범위를 설정해보는 나눠보는 시간을 가졌다. 선정된 카타는 ‘Going Going Gone’과 ‘Going Green’로 아키텍처 특성 범위를 어떻게 바라볼지 함께 고민해보자.💡 ‘내 생각’ 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스터디 내용을 복습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Chapter7. 아키텍처 특성 범위3장에서는 모듈성 측정을 위한 개념(커플링, 커네이선스)을 소개하였고, 4장에서는 운영적, 구조적 및 공통 아키텍처 특성을, 5장에서는 요구사항 안에 있는 아키텍처 특성을 ‘식별’하였고, 6..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4, 5. 아키텍처 특성 정의와 식별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지난주는 시간 관계상 Chapter4에서 소개된 아키텍처의 특성을 많이 다루지 못하여 스터디 범위가 Chapter4, 5가 되었다. 과연 책에서 언급되는 아키텍처 특성과 멘토님이 설명해주시는 특성은 뭐가 다르고 무엇이 중요할까? 그리고 책에서 소개하는 아키텍처 설계 방법은 특성과 어떻게 연결될까? 리마인드하며 쓴 이 글을 통해 고민할 포인트가 많았던 회차였구나 싶다.너무 긴글은 호흡이 딸리니 최대한 짧고 굵게 시작!💡 ‘내 생각’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이 포스팅은 스터디한 내용 리마인드하는 개념이므로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Chapter4. 아키텍처 특성 정의지난주 스터디는 ‘모듈성’과 ‘아키텍처 특성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