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8. 컴포넌트 기반 사고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3장 ~ 7장까지 아키텍처 특성, 식별, 측정, 범위에 대해서 스터디 했다면, 8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컴포넌트를 설계하는 법에 대해서 배운다. 그동안 공부했던 개념을 적용해보고자 나름의 프로세스를 정리해보았다. 하지만 이 프로세스를 위해 추가로 필요했던 공부들도 정리하다보니 내용이 매우 길어지고 문체가 정돈되지 못한점 미리 사과드립니다..💡 ‘내 생각’ 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스터디 내용을 복습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8.1 컴포넌트 범위8.1.1 컴포넌트란‘3장 모듈성’에서 모듈과 컴포넌트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었는데 이번장에서는 컴포넌트가 핵심 주제로 등장하게 된다. 컴포넌트란 무엇일까?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7. 아키텍처 특성 범위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이번주는 5장 내용 중 요구사항에서 아키텍처 특성을 도출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소개됐었던 ‘아키텍처 카타’를 통해 아키텍처 특성 범위를 설정해보는 나눠보는 시간을 가졌다. 선정된 카타는 ‘Going Going Gone’과 ‘Going Green’로 아키텍처 특성 범위를 어떻게 바라볼지 함께 고민해보자.💡 ‘내 생각’ 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스터디 내용을 복습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Chapter7. 아키텍처 특성 범위3장에서는 모듈성 측정을 위한 개념(커플링, 커네이선스)을 소개하였고, 4장에서는 운영적, 구조적 및 공통 아키텍처 특성을, 5장에서는 요구사항 안에 있는 아키텍처 특성을 ‘식별’하였고, 6..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6. 아키텍처 특성의 측정 및 거버넌스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지난주 스터디에서는 수많은 아키텍처 특성과 아키텍처에서 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연습 방법에 대해 소개가 되었다. 이번 스터디에서는 ‘아키텍처 카타’를 이용한 아키텍처 특성 도출 연습을 하기 전 아키텍처 특성을 측정하는 지표와 관점에 대해서 ‘소통 주제’에 따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내 생각’ 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멘토’ 부분 또한 필자 관점으로 해석된 글임을 안내드립니다.  Chapter6. 아키텍처 특성의 측정 및 거버넌스6.1 아키텍처 특성 측정성능 같은 중요한 특성에 대한 정의가 같은 조직에서도 부서마다 일치하지 않아 개발자, 아키텍트, 운영자 모두 정의를 통일하기 전까지는 원활하게 소통하기가 어렵습니다. - 115p Q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4, 5. 아키텍처 특성 정의와 식별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지난주는 시간 관계상 Chapter4에서 소개된 아키텍처의 특성을 많이 다루지 못하여 스터디 범위가 Chapter4, 5가 되었다. 과연 책에서 언급되는 아키텍처 특성과 멘토님이 설명해주시는 특성은 뭐가 다르고 무엇이 중요할까? 그리고 책에서 소개하는 아키텍처 설계 방법은 특성과 어떻게 연결될까? 리마인드하며 쓴 이 글을 통해 고민할 포인트가 많았던 회차였구나 싶다.너무 긴글은 호흡이 딸리니 최대한 짧고 굵게 시작!💡 ‘내 생각’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이 포스팅은 스터디한 내용 리마인드하는 개념이므로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Chapter4. 아키텍처 특성 정의지난주 스터디는 ‘모듈성’과 ‘아키텍처 특성 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3, 4. 모듈성과 아키텍처 특성 정의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3. 모듈성Q1. 모듈과 컴포넌트는 어떻게 다를까요? 여러분은 어떤 기준으로 모듈을 분리하고 관리하시나요?모듈이란 연관성 있는 코드의 묶음이고, 컴포넌트란 모듈과 비슷한 개념? 프론트엔드 단에서 사용하는 UI관련 개념? 분명 정의된 개념이 있는데 막상 이야기해보라고 하면 이렇게 추상적일 수가 없다.내가 모른다는 사실을 이제서야 안 것이지 않은가? 그동안 제대로 알지도 못한채 모듈화 하겠다며 묶었던 코드들을 다시 열어본다면, ‘3.2.1 응집(p71)’에서 말하는 것과 같이 ‘기능적 응집(functional cohesion)’이 아닌 ‘동시적 응집(coninidental cohesion)’이지 않을까? 모듈이란?더보기모듈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독립적인 기능 단위를 의미한다.독립적으로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