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4, 5. 아키텍처 특성 정의와 식별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지난주는 시간 관계상 Chapter4에서 소개된 아키텍처의 특성을 많이 다루지 못하여 스터디 범위가 Chapter4, 5가 되었다. 과연 책에서 언급되는 아키텍처 특성과 멘토님이 설명해주시는 특성은 뭐가 다르고 무엇이 중요할까? 그리고 책에서 소개하는 아키텍처 설계 방법은 특성과 어떻게 연결될까? 리마인드하며 쓴 이 글을 통해 고민할 포인트가 많았던 회차였구나 싶다.너무 긴글은 호흡이 딸리니 최대한 짧고 굵게 시작!💡 ‘내 생각’부분은 스터디때 바로바로 적었던 내용이라 올바른 정보가 아닐 수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또한 이 포스팅은 스터디한 내용 리마인드하는 개념이므로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Chapter4. 아키텍처 특성 정의지난주 스터디는 ‘모듈성’과 ‘아키텍처 특성 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 3, 4. 모듈성과 아키텍처 특성 정의
·
📚 오늘도 한 페이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Chapter3. 모듈성Q1. 모듈과 컴포넌트는 어떻게 다를까요? 여러분은 어떤 기준으로 모듈을 분리하고 관리하시나요?모듈이란 연관성 있는 코드의 묶음이고, 컴포넌트란 모듈과 비슷한 개념? 프론트엔드 단에서 사용하는 UI관련 개념? 분명 정의된 개념이 있는데 막상 이야기해보라고 하면 이렇게 추상적일 수가 없다.내가 모른다는 사실을 이제서야 안 것이지 않은가? 그동안 제대로 알지도 못한채 모듈화 하겠다며 묶었던 코드들을 다시 열어본다면, ‘3.2.1 응집(p71)’에서 말하는 것과 같이 ‘기능적 응집(functional cohesion)’이 아닌 ‘동시적 응집(coninidental cohesion)’이지 않을까? 모듈이란?더보기모듈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독립적인 기능 단위를 의미한다.독립적으로 개발, ..